잘 모르겠어요 고1 여학생입니다…… 요즘 기분이 너무 오락가락 해요 근데 베이스는 우울인
고1 여학생입니다…… 요즘 기분이 너무 오락가락 해요 근데 베이스는 우울인 것 같아요 아무리 털어내보려고 해도 잘 안 되네요 너무 괴로워요 작년이나 재작년 정도에는 하고 싶은 걸 하지 않으면 미쳐버릴 것 같을 정도로 의지와 의욕이 가득했고 하고 싶은 게 참 많았었는데 고등학교 올라와서 그런 게 다 사라졌어요 가끔 가다 한 번 하고 싶은 게 생겼어도 현실의 벽의 부딪혀 시도조차 못 했네요 대부분 경제적 이유일 겁니다특히 최근이 가장 심하다고 느꼈어요 그냥 제 안에서 하고 싶다는 감정이 사라졌어요 어느 정도냐면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는 마음까지 안 들어요 대충 사람이 힘들면 누워 있고 싶다, 가만히 있고 싶다,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잖아요 적어도 저는 그렇거든요? 근데 요즘엔 “~를 하고 싶다” 라는 이 말이 와닿지가 않아요 원래는 죽고 싶다는 생각도 밥 먹듯이 했는데 요즘엔 그냥 그런 거 자체가 싹 사라졌어요 하고 싶다는 생각 자체를 머릿속에서 아예 못 하는 것 처럼 그럼에도 현재 하고 싶다고 느끼는 것들이 있는데 다시 생각해보면 저는 하고 싶은 것이 있고 싶은 것 같아요 이렇게 말하면 모순일까요? 그래도 내가 하고 싶은 거랑 내가 갖고 있고 싶은 거랑은 다른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네요 제가 지금 하고 싶다고 느끼는 것들은 다 최근에 하고 싶던 것들이에요 지금이야 전부 어떻게 되어버리든지 상관 없는데 뭐라도 붙잡고 있고 싶나봐요 아니면 집착일지도 모르겠네요 하고 싶다고 너무 강하게 느껴버린 나머지… 언어 구사력이 딸려서 말을 더 못하겠네요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충남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이버상담실입니다.
비공개님은 지금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이군요.
요즘 기분이 조금 오락가락 하고 대체적으로 우울모드라고 하셨네요.
이런 기분을 좀 털어내고 싶은데 쉽지 않고 고민 글을 통해 보면 오히려 괴로운 정도로 좀 힘들어 보여요.
원래의 비공개님은 하고 싶은 게 많고 의욕도 많았는데 최근 경제적인 현실의 벽에 부딪혔나요?
그 시점이 고등학교 입학 즈음 인 것 같아요.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 ’ 하고 싶은 게 있는 것 같다.‘ 라는 모순적인 두 양 갈래길의 생각사이에서 무엇이라도 붙잡고 싶은 것이 집착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깊은 고민과 가라앉은 힘든 감정의 이야기를 비공개님과 마주보고 앉아 이야기를 나눈다면 좀 더 자세히 들어볼 수 있을 텐데 아쉬운 마음도 들었어요.
비공개님이 느끼는 경제적인 현실의 벽이라는 현실과 의미에 대해서도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요.
내 고민을 누군가에게 말한다고 해서 해결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혼자 가지고 있는 비밀을 잘 귀담아 들어주고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전문가와 상담을 한다면 그 무게감은 분명 달라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고 싶은 게 많고 의욕이 많은 것이 비공개님의 자아라면 그것이 뒷받침 되지 않아 현실과 절충해야 하는 아픔은 제가 예상하는 그 이상일 수도 있을 거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비공개님은 고등학교 1학년이고 스스로 하고 싶은 것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그 기회가 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비공개님의 고민글안에 ‘벽’ 이라는 단어를 보고 도종환 시인의 ‘담쟁이‘ 라는 시가 떠올랐어요.
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느낄 때 그 때 담쟁이는 말없이 그 벽을 오른다. 라는 구절이 있는 시입니다.
내가 하고 싶은 게 있다면 때로는 집착이 필요하고 그것이 지금 당장은 힘들지라도 내 꿈이 되고 내 에너지가 될 수 있을 거예요.
너무 힘들다고 느낄 땐 언제든 24시간 가능한 청소년전화 1388로 전화상담도 가능하고 감정일기를 쓰면서 내가 하고 싶은 말과 감정을 풀어가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거예요.
도움이 필요할 땐, 언제든지 청소년전화1388을 이용해주세요.
청소년들의 다양한 고민상담은 물론, 위기(가능) 청소년의 긴급구조를 위해 365일, 24시간 운영 중입니다.
① 전화상담 : 국번 없이 1388 또는 지역번호+1388
② 사이버상담 : 청소년1388사이버상담센터(https://www.cyber1388.kr) 실시간 채팅 상담
③ 모바일상담 : 카카오톡에서 ‘청소년상담1388’ 검색 후 채널 추가하면 24시간 상담 가능
④ 대면상담(화상상담) : 지역 내 가까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용(1388 통해 상담 예약 문의)
① 전화상담 및 대면 상담 : ‘041-1388’로 전화 문의
② 온라인상담(상담게시판) : 충남사회서비스원_상담복지센터(https://cn.pass.or.kr)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