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취업한 지 얼마안된 22살 사회초년생입니다S&P500 ETF를 조금씩 모아가고싶어서 찾아보고있어요!여러가지 많던데 주식 초보라 잘 모르겠어서 부모님이 추천해주신 ISA계좌를 한번 알아봤습니다장단점이 다양한데, 이번에 찾아보니 이중과세 논란? 도 있던데 해외ETF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직접 투자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ISA나 IRP등등 다양한 계좌를 사용하고 계신데 혹시 사회초년생들에겐 ISA계좌와 직접투자 중 뭐가 더 유리한가요? 투자하게 된다면 70만원~80정도 매달 투자 가능 할 것 같습니다또한 궁금한 점이, 해외투자에서 매년 수익 250만원까진 양도소득세 기본공제라고 하는데 이 250만원이 제가 주식을 보유하고만 있어도 +250만원이면 수익인정이 되는건지 아니면 사고 팔아서 내 돈+250이 되었을때 인정을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직접투자를 하게 된다면 해외직투 계좌를 따로 만들어야 하는건가요? 제가 토스증권을 사용하는데 이 계좌로 주식을 하면 그게 해외직투 계좌인건가요? 주식에 대해서는 아직 아는게 하나도 없어 도움 부탁드립니다 ㅠㅠ
ISA 계좌는 매년 납입한도(2,000만원, 최대 1억원) 안에서 투자하면 200만원(서민형은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고, 그 이상 수익은 9.9%로 낮게 과세됩니다. 사회초년생처럼 매달 70~80만원 투자라면 ISA로 충분히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직접투자는 별도 절세 혜택은 없지만, 계좌 운용이 자유롭고 ISA처럼 3년 의무기간이 없습니다. 다만 수익이 커지면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해외주식·ETF는 매도해서 확정된 수익(양도차익)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단순히 보유 중 평가이익이 250만원 생겨도 과세되지 않고, 팔아서 실제 이익이 확정돼야 기본공제 250만원을 적용받습니다.
토스증권, 키움, 미래에셋 등 국내 증권사에서 “해외주식 거래 신청”만 하면 그 계좌가 곧 해외직투 계좌가 됩니다. 별도 은행 해외계좌를 만들 필요는 없어요.
정리하면, 사회초년생이시라면 세제 혜택이 있는 ISA 계좌를 활용해 S&P500 ETF를 모으는 게 가장 무난합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ISA 계좌로 미국 ETF 투자하기|S&P500·나스닥100·반도체 ETF 장기투자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