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
>> 글 이어보기 <<
항공관련 과가 있는 고등학교 알려주세요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는 곳도 좋지만 그냥 항공관련 과가 있다면 괜찮아요!
국내 배낭여행 추천... 국내 배낭여행 추천 일단 야생 캠핑처럼 모닥불 텐트 고기사다가 치고
아고다 캐쉬백 어떻게 받나요? 요청 가능 날짜가 13일로 나와서 어제 요청하려고 했는데 요청을 누를
승무원이 되려면 승무원학원을 꼭 다녀야 하나요 현재 고... 승무원이 되려면 승무원학원을 꼭 다녀야 하나요현재 고2인데 고1때 내신이 완전
진격거 극장판 이번 극장판에 결말까지 다 나오는 거죠??넷플에서 4편 일부러 안 보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백제 역사 처음부터 끝까지 요약 해주실분(내공1000 백제 역사좀 요약해서 알려주세요 제발ㅠㅠㅠㅠ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백제 역사 처음부터 끝까지 요약 해주실분(내공1000 백제 역사좀 요약해서 알려주세요 제발ㅠㅠㅠㅠ
백제 역사좀 요약해서 알려주세요 제발ㅠㅠㅠㅠ
i
백제
삼국(三國)의 하나로서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했으며 660년에 멸망한 고대국가.
요약
백제는 삼국의 하나로서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했으며 660년에 멸망한 고대국가이다. 서기전 18년에 부여족 계통인 온조 집단에 의해 현재의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한인·예인 등의 토착민을 부여족이 지배하는 형식이었다. 건국 후 고구려·신라와 동맹과 공방을 되풀이하면서 영역을 영산강·섬진강 유역까지 확장하여 강력한 국가로 성장했다. 지정학적인 이점을 최대한 이용해 중국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 백제화하고, 다시 왜나 가야에 전수해 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을 형성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나 신라와 군사동맹을 맺은 당에 의해 멸망했다.
백제(百濟)는 서기전 18년에 부여족(扶餘族) 계통인 온조(溫祚)집단에 의해 현재의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4세기 중반에는 북으로 황해도에서부터 경기도 · 충청도 · 전라도 일대를 영역으로 하여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660년에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에 의해 멸망하였다. 이후 3년 간 치열한 부흥운동(復興運動)을 전개하였지만 이마저 실패하고 말았다. 678년 동안 존속한 백제 역사의 전개과정을 수도 변천을 중심으로 보면 한성도읍기(漢城都邑期: 기원전 18∼기원후 475), 웅진도읍기(熊津都邑期: 475∼538), 사비도읍기(泗沘都邑期: 538∼660)로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백제를 구성한 주민들의 계통을 보면 선주토착민은 한인(韓人)이었고, 여기에 예인(濊人)들이 섞였다. 한성도읍기에 지배층은 부여족 계통이 주류를 이루었다. 4세기 이후 삼국 간의 접촉과 중국 및 왜(倭)와의 접촉이 본격화되면서 신라인 · 고구려인 · 왜인 · 중국계통의 사람들도 지배세력으로 흡수되기도 하였다.
백제는 세 차례 천도를 하면서 개성있는 문화를 형성하였다. 한성시대에는 서울시 석촌동에 있는 대규모의 적석총(積石塚)에서 보듯이 고구려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 그러나 웅진 및 사비로 천도하면서 중국의 남조문화(南朝文化)를 받아들여 세련되고 우아한 문화를 만들어냈다. 또 지정학적인 이점을 최대한 이용해 중국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 이를 백제화하고, 다시 왜나 가야(加耶)에 전수해 고대 동아시아 공유(共有)문화권을 형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국가
건국연도
패망연도
존속기간
역대왕
백제
BC 18
서기660년
678년
총 31대왕
백제왕조별전후기 구분
구분
전기
중기
후기
백제
1,온조왕 18 BCE-29 CE
10.분서왕 298-304
11. 비류왕 304-344
19.구이신왕 420 - 427
20.비유왕 427 - 454
31.의자왕 641 - 660
연표
연대 역사적인 사건
B.C 18 온조왕 백제건국, 하남 위례성에 도읍, 동명묘(東明廟)건립했다 함
A.D13 국내 민호(民戶)를 남북(南北) 2부로 나눔
A.D 15 동부(東部)와 서부(西部)를 둠
A.D 28 온조왕 사망, 다루왕 즉위
A.D 75 신라 와산성을 함락시킴
A.D 77 다루왕 사망, 기루왕 즉위
A.D 85 신라변경을 침공
A.D 113 신라와 수교함
A.D 128 기루왕 사망, 개루왕 즉위
A.D 132 북한산성을 쌓음
A.D 166 도미와 그의 아내가 고구려로 도망감(도미전설), 개루왕 사망, 초고왕 즉위
A.D 214 초고왕 사망, 구수왕 즉위
A.D 221 한수 서쪽의 군대를 열병함
A.D 234 구수왕 사망, 사반왕 즉위, 사반왕 나이가 어려 고이왕 즉위
A.D 246 좌장(左將) 진충(眞忠)을 보내어 낙랑변경 습격
A.D 260 6좌평(佐平) 16관등(官等)제도 실시하였다고 함
A.D 262 관인(官人)으로 재물받은 자, 도둑질한자는 장물의 3배 징수, 종신금고(終身禁錮)에 A.D
A.D 304 낙랑의 서쪽 현(縣)을 빼앗음, 낙랑태수의 자객에게 분서왕 피살됨, 비류왕 즉위
A.D 327 내신좌평 우복이 북한성에서 반란을 일으킴
A.D 346 계왕 사망, 근초고왕 즉위
A.D 369 한수이남 사열, 전군(全軍)이 황색(黃色)깃발 사용
A.D 371 평야성 전투에서 고구려의 고국원왕 전사 시킴, 한산(韓山)으로 천도
A.D 372 왜왕에게 칠지도(七支刀) 하사
A.D 375 근초고왕 사망, 근구수왕 즉위, 고흥 『서기』편찬, 일본에 한문 전수
A.D 377 고구려의 평양성 공격
A.D 387 말갈과 관미령(關彌嶺)에서 싸움
A.D 392 고구려에 관미성과 한수 이북의 많은 부락을 빼앗김
A.D 397 태자 전지를 왜에 파견
A.D 403 왜가 사신을 보내옴, 신라의 변경을 침공함
A.D 405 아신왕 사망, 전지왕 즉위
A.D 408 여신(餘信)을 상좌평에 임명
A.D 409 왜국에서 사신을 보내 야명주(夜明珠)를 바침
A.D 420 전지왕 사망, 구이신왕 즉위, 송(宋)으로부터 작호 받음
A.D 428 4부를 순무, 왜국사신과 수행자 50명이 옴
A.D 434 신라에 사신을 보내어 양마(良馬) 2필, 흰매를 선물
A.D 464 백제와 가야가 신라를 지원
A.D 469 고구려 남변을 침공, 쌍현성 수리, 청목령에 대책(大冊) 설치
A.D 475 고구려 침공으로 한성(漢城)함락, 개로왕 피살됨, 웅진(熊津)천도, 문주왕 즉위
A.D 488 북위(北魏) 군대 격퇴
A.D 493 동성왕, 신라의 이찬 비지(比智)의 딸과 혼인
A.D 494 신라에 응원군 3천을 보내 신라를 구함
A.D 495 고구려 침입, 신라에서 구원병 보냄, 고구려 대패시킴
A.D 501 가림성(加林城) 축조, 위사좌평 백가를 파견,
왕이 사비서원 사냥, 마포촌 유숙중 백가의 자객에 의해 피살,무령왕 즉위
A.D 502 백가의 반란 진압, 고구려의 수곡성 공격
A.D 503 고목성에 침입한 말갈격퇴
A.D 509 왜에서 사신을 보내옴
A.D 512 고구려가 가불성, 원산성 침공하자 격퇴시킴
A.D 513 왜에 오경박사(五經博士) 단양이(段揚爾) 파견
A.D 516 왜에 오경박사(五經博士) 고안무(高安茂) 파견
A.D 521 양(梁)에 조공, 양(梁)으로부터 무령왕이 영동대장군에 봉해짐
A.D 523 무령왕 사망, 성왕 즉위
A.D 525 무령왕릉 축조
A.D 538 봄에 사비(부여)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로 칭함
일본에 태자상(太子傷), 관불기(觀佛記)등을 보내 불교전파
A.D 551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한강 하루지역 점령, 왜에서 보리씨 천섬 보내옴
A.D 552 금동석가상, 미륵석불, 경론을 왜에 보냄, 달솔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교전파
A.D 553 신라의 기습공격으로 한강유역을 빼앗김
A.D 588 백제기술자들에 의해 왜의 나라지방에 비조사(飛鳥寺) 창건됨
A.D 592 백제기술자들이 왜 법흥사(法興寺)의 불당 완성
A.D 597 아좌태자가 왜에 건너가 성덕 태자상을 그림
A.D 597 위덕왕 사망, 혜왕 즉위
A.D 600 법왕 사망, 무왕 즉위
A.D 602 백제 승려 관륵(觀勒)이 왜에 건너가 천문지리, 역서 등을 전함
A.D 611 적암성 축조, 신라의 가잠성 함락시킴
A.D 624 신라를 쳐서 속함(速含)등 6성을 차지
A.D 627 신라의 서쪽변방 2성을 함락시킴
A.D 641 무왕 사망, 의자왕 즉위, 익산에 쌍릉 조성
A.D 642 신라의 미후성 등 40여성 점령, 대야성을 함락시킴
A.D 645 신라의 7성을 점령
A.D 654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 건립
A.D 655 고구려, 말갈과 함께 신라의 30여성을 공취함
A.D 656 좌평 성충(成忠)이 임금의 실정을 간언하다 옥에 갇힘
A.D 657 왕의 서자(庶子) 41명에게 좌평제수와 식읍(食邑)을 줌
A.D 659 신라, 백제를 치고자 당에 사신을 파견
A.D 660 당의 소정방 13만 대군, 신라 김유신 5만군사 백제 침공, 의자왕 웅진성 피난
왕자 부여융 신라에 항복(7.13), 의자왕 나 ? 당연합군에 항복(7.18)
백제 유민과 좌평 정무(正武) 백제부흥운동 시작(8.2)
소정방이 의자왕과 왕자, 대소신료, 백성 1만 3천여명을 포로로 당으로 데려감
A.D 661 복신, 도침, 흑치상지 등 부흥운동 전개
A.D 662 왕자 풍(豊) 귀국, 백제왕으로 즉위
A.D 663 왜의 구원병과 부흥군 백강(百江) 전투패전, 주류성 함락, 부흥운동의 종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