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영어 동격절 문장 그녀는 이 마을에 공동체 센터를 짓겠다는 생각이 있다.She has an
그녀는 이 마을에 공동체 센터를 짓겠다는 생각이 있다.She has an idea that she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이게 정답인데요혹시 will 대신에 would르 쓰면 틀린건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질문 정독 후 최대한 쉽고 자세하게 답변 해 드리겠습니다.
네,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영어 동격절에서 `will` 대신 `would`를 쓰는 경우와 그 의미 차이,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would`를 사용할 수 있는지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동격절의 'will' vs 'would' 이해하기*
주어진 문장은 "She has an idea that she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입니다. 여기서 `that she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부분이 `an idea`와 동격을 이루는 동격절입니다.
*1. `will`을 썼을 때 (정답 문장)*
*She has an idea that she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의미:
*그녀는 *미래에 실제로 공동체 센터를 지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will`은 그녀의 **의지 또는 미래의 계획**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 가장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현재 그녀가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의 내용이 미래에 일어날 일이라는 것을 명확히 전달합니다.
*2. `will` 대신 `would`를 썼을 때: 틀린 것인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의미가 약간 달라지거나 특정한 문맥에서만 자연스럽습니다."
"She has an idea that she would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would`는 `will`의 과거형이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다른 용도로도 쓰입니다. 여기서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습니다.
#### **a) 과거 시제 일치 (Reported Speech):**
`would`가 `will`의 과거형으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만약 원래 문장이 과거에 "She *had* an idea..." 였다면, 동격절 안의 `will`도 `would`로 바뀌는 것이 일반적인 시제 일치 규칙입니다.
* 예시:
* (원래 직접 화법) She said, "I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 (간접 화법) She said that she **would** build a community center.
하지만 질문의 문장은 현재 시제 (`She **has** an idea`)입니다. **현재 시제 동사 뒤에 오는 동격절은 보통 시제 일치를 엄격하게 따르지 않으므로 `will`을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has` 뒤에 `would`를 쓰면 굳이 시제 일치를 시도한 것처럼 보이거나,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b) 가정법 또는 가상의 상황 (Hypothetical/Conditional):**
`would`는 **가정법**이나 **가상적인 상황, 조건부적인 미래의 의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She has an idea that she would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if...).**
* 이 문맥에서 `would`를 썼다면, 그녀가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예: 돈이 있다면, 허락을 받는다면 등) 공동체 센터를 지을 것이라는 **'생각' 또는 '가상적인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뉘앙스가 될 수 있습니다.
* 즉, 단순한 미래 계획이라기보다는, **'만약 ~ 한다면 ~ 할 텐데'** 와 같은 가정의 의미가 내포될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문장처럼 `will`이 자연스러운 이유는, 그녀의 '생각'의 내용이 단순한 미래의 계획이나 의지이기 때문입니다.** `would`를 사용하면 "그녀는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지을 텐데"라는 다소 불확실하거나 조건부적인 뉘앙스가 생길 수 있습니다.
### **3. 틀렸다면 `would` 대신 뭘 써야 하는가?**
질문하신 문장 ("She has an idea that she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에서 `will`이 가장 적절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만약 `will` 대신 다른 것을 써야 한다면, 그건 문장의 의미를 바꾸려는 의도가 있을 때입니다.
* **의지/미래 계획 (가장 자연스러움):**
* **She has an idea that she will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원래 문장 그대로)
* 이것이 가장 흔하고 정확한 표현입니다.
* **현재의 의도/의향 (좀 더 캐주얼하게):**
* **She has an idea that she is going to build a community center in this town.**
* `be going to`는 `will`과 비슷하게 미래를 나타내지만, `will`보다 이미 **계획이나 의도가 확정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표현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단순한 미래의 사실/계획:**
* **She has an idea that a community center will be built in this town.** (수동태로 표현)
* 이는 그녀가 직접 짓는다는 것보다는 '센터가 지어질 것'이라는 일반적인 미래 사실에 초점을 맞춥니다.
* **`She has an idea that she will build...`** 이 문장이 가장 정확하고 자연스럽습니다. `will`은 그녀의 미래 계획이나 의지를 나타냅니다.
* **`would`를 쓰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시제 주절 뒤에 `would`가 오면 **가정법적인 뉘앙스**("~할 텐데"와 같은 조건부적 의지)가 생기거나, 시제 일치를 굳이 하려 했다는 느낌을 줄 수 있어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경우, 동격절에서 미래의 의지나 계획을 나타낼 때는 **`will` 또는 `be going to`**를 사용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그녀의 '생각'이 '미래에 벌어질 일'에 대한 것이라면 `will`이 가장 직접적인 표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혹시 라도 추가 적으로 궁굼하신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1:1 문의 하기 로 문의 부탁 드리며,
조금 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짧은 감사 댓글과 채택 부탁 드립니다.